전체 글55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Oriented Programming) 기존의 프로그래밍 방식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절차적 프로그래밍 방식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할 때처럼 어떤 입력을 받아 명시된 순서대로 처리하고 결과를 내는 방식이다. 두 번째로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식이 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식은 절차적 프로그래밍 방식의 한계를 개선한 형태의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함수 단위로 나눈 뒤 함수끼리 호출하는 방식이다. 어떠한 큰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요구사항을 작은 단위들로 나누어 해결하는 방식이다. 흔히, Top-Down 방식이라고도 부른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는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식의 한계를 개선한 형태의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프로그래밍에 .. 2021. 10. 4. java.net.UnknownServiceException: CLEARTEXT communication to (..) not permitted by network security policy Retrofit2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서버와의 HTTP 통신을 구현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java.net.UnknownServiceException: CLEARTEXT communication to (..) not permitted by network security policy Network Security Policy 즉, 네트워크 보안 정책과 관련된 이슈이다. 우선, 위의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통신하려고 하는 대상의 주소가 http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개발하고 있는 개발환경이 Android 9.0 (API Level 28, Pie) 이상인지 확인해보아야 한다. Android 9.0부터는 네트워크를 https로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아래 문서는.. 2021. 9. 29. (Design Pattern) 2. 구조 패턴 1. 구조 패턴 (Structural Pattern) 구조 패턴 (Structural Pattern)은 클래스나 객체를 조합하여 더 큰 구조를 만드는 패턴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Interface를 갖는 2개의 객체를 하나로 묶어 단일 Interface를 제공하거나 객체들을 서로 묶어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구조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개체 간의 관계를 실현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써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 구조 클래스 패턴은 상속을 통해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합성하고, 구조 객체 패턴은 객체를 합성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1-1. 어댑터 (Adapter) 특정 클래스의 Interface를 다른 Interface로 변환하여 다른 클래스가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패턴.. 2021. 9. 26. (Design Pattern) 1. 생성 패턴 1. GoF 디자인 패턴 GoF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이다. 유형에 따라 생성 패턴 (Creational Pattern), 구조 패턴 (Structural Pattern), 행위 패턴 (Behavioral Pattern)으로 나뉘어 진다. 또 이 패턴들을 범위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는데, 각 패턴을 주로 클래스에 적용하는지, 객체에 적용하는지 구분한다. 클래스 패턴은 클래스와 서브 클래스 간의 관련성에 대해 다룬다. 주로, 상속을 통해 관련되며 컴파일 타임에 결정되는 정적인 성격을 지닌다. 객체 패턴은 각 객체 간의 관련성을 다루고, 런타임 내에 변경되는 동적인 성격을 지닌다. 아래 그림은 각 패턴들의 종류이다. 2. 생성 패턴 (Creational Patter.. 2021. 9.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